와일드리프트 암살자 챔피언에 대한 고찰
와일드리프트에서 흔히 "벨붕"이라고 불리는 벨런스 붕괴의 원인 격이 되는 역할군은 단연 암살자 챔피언 계열이라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고기동성과 높은 공격력을 기본으로 장착한 암살자 챔피언은 PC와 모바일에서도 무서운 존재이고 견제가 되지 않았을 때는 해당 게임에서 활개치고 다니는 무서운 사신이 되어버립니다. 하지만 이런 암살자 챔피언들에도 그들만의 고민과 한계가 있고 대처할 수 있는 영역들이 있습니다. 즐겜독학 암살자 챔피언에 대한 고찰,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1. 암살자 챔피언의 고민
암살자 챔피언 최대 고민은 바로 한번에 잡을 수 있을까 없을까에 대한 고민입니다. 강력한 돌진과 공격력을 기반으로 상대를 한 번에 제압하는 것이 필요한 암살자 챔피언은 대미지 계산을 통해 상대의 체력을 한 번에 깎을 수 있을지 없을지 충분히 고민하고 접근해야 합니다. 이러한 계산 없이 무작정 뛰어들어 갔다가 상대방이 죽지 않고 오히려 나를 공격해 역으로 당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암살자 챔피언의 경우 상대팀의 체력이 낮은 상대로 주로 암살을 하겠지만 때에 따라서는 상대팀 탱커를 제압해야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 생존성과 공격력을 모두 챙길 수 있도록 유동성이 있는 아이템 선정 또한 고민거리 중 하나입니다.
2. 암살자 챔피언의 한계
고기동성과 공격력으로 압살하는 맛이 있는 만큼 컨트롤에 매우 큰 진입 장벽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챔피언들로 제드, 야스오, 요네, 아칼리, 리신 등 컨트롤이 뒷받침되어야 그 성능이 빛을 발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만약 암살자 챔피언에 대한 이해도와 숙련도가 낮을 경우에는 그냥 걸어 다니는 먹잇감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이 플레이해보고 손에 익혀서 상대가 절대로 자신을 못 잡도록 할 만큼 뛰어난 컨트롤 능력이 필요해집니다. 많은 시간 투자와 연습으로 이해도와 숙련도를 올려 나의 챔피언으로 만들어야지 그 능력을 끌어올려 소환사의 협곡을 휘젓고 다닐 수 있게 됩니다.
3. 무서운 존재감
이해도는 있어도 숙련도는 낮을 수 있습니다. 그런 상태라 하더라도 해당 챔피언은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상대에게 위압감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 두번의 견제와 갑작스러운 진입으로 상대를 잡으려는 시도들은 상대팀을 압박하고 심리적으로 위축하게 만드는 무서운 존재감으로 거듭납니다. 기본적인 아이템이 비슷한 초반 구간에 체력이 낮은 상대팀의 서포터나 원거리 챔피언들을 계속 잡아줌으로써 성장에 성장을 거듭하게 되면 어느 순간 자신은 소환사의 협곡을 휘젓고 나니는 사신으로 변신되어 있을 것입니다. 정확한 딜 계산과 진입 타이밍, 시야 밖에서는 급작스런 돌진으로 상대를 놀라게 하고 제압함으로 그 존재감을 드러내보세요.
암살자 챔피언은 플레이어의 스타일에 따라 극과 극으로 나뉘게 됩니다. 흔히들 말하는 "파일럿 차이"가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해도와 숙련도를 올려 게임에 진입해 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리그오브레전드(롤) 와일드리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일드리프트 서포터 잘하는 꿀팁 (1) | 2023.12.20 |
---|---|
와일드리프트 게임 승리를 위한 꿀팁 (0) | 2023.12.19 |
와일드리프트 주문력 챔피언에 대한 고찰 (0) | 2023.12.17 |
와일드리프트 근거리 챔피언에 대한 고찰 (0) | 2023.12.16 |
와일드리프트 원거리 챔피언에 대한 고찰 (1) | 2023.1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