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와일드리프트 원거리 챔피언 플레이어의 성향별 고찰

취미독학 2023. 12. 21.
728x90

리그오브레전드 와일드리프트에서 서포터 플레이어로서 게임 플레이를 하다 보면 원거리 챔피언을 플레이하는 플레이어들의 성향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임 시작 초반 수동적으로 플레이를 하는 방어형 플레이어가 있는가 하면 적극적으로 상대방을 압박하는 공격형 플레이어가 있습니다. 이 두 성향의 플레이어들을 보면 정말로 게임을 이해하고 잘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방어형 원거리 플레이어와 공격형 원거리 플레이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즐겜 독학 와일드리프트 원거리 챔피언 플레이어의 성향별 고찰, 지금 바로 시작합니다.

 

 

 

1. 방어형 원거리 챔피언 플레이어

챔피언 이해도와 상관없이 수비적인 플레이를 하는 플레이어들은 옆에서 서포터를 하는 입장에서 매우 답답한 존재입니다. 선택한 원거리 챔피언의 이점을 전혀 살리지 못하고 수비적으로 플레이를 하다보니 오히려 센스가 좋은 상대방은 이를 이용하여 압박을 가하기가 더욱 편해집니다. 이렇게 될 경우 초반 구간 레벨 1에서 약 6~7 레벨 사이 때까지는 매우 힘들게 플레이를 할 수밖에 없습니다. 당하지 않으면 다행이지만 자주 잡혔다면 이미 게임의 기울기는 확 기울어졌기 때문에 끝이 났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이런 게임에서 이기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른 팀원들을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아군의 정글러나 다른 플레이어가 도움을 주던가, 또는 그들이 주도적으로 게임을 이끌어나가 승리로 이끄는 것만이 답이 됩니다. 

 

만약 본인이 방어적 성향의 플레이어라면 미리 이야기를 하고 수비적인 플레이를 하면서 잡히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리고 게임 흐름상 중반부에 접어들어서는 빨리 합류하여 적 챔피언 처치에 관여하여 경험치와 골드를 수급함으로 부족했던 성장세를 올려야합니다.

 

 

2. 공격형 원거리 챔피언 플레이어

수비적 성향의 플레이어와는 정반대인 저돌적이고 적극적인 공격형 원거리 챔피언 플레이어는 잘못할 경우 불나방 스타일이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위험요소가 보임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쫓아가서 공격하는 성향입니다. 이런 플레이어의 경우 주변을 보지 못하고 오직 본인의 성적표에만 눈독을 들여 아군의 도움은 보이지 않는 성향입니다. 때론 입이 거친 플레이어를 만날 경우 괜히 험한 말들을 하곤 하는 유형이 됩니다. 

 

이런 유형들의 플레이어가 라인전 대결에서 승기를 잡으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다면 그저 먹이로 전락하고 맙니다. 만약 본인이 공격적 성향의 플레이어라면 이것 역시 사전에 팀원들과 공유하여 적극적으로 플레이를 하자고 해야 서포터나 다른 아군들도 이에 맞추어서 공격적으로 플레이를 할 수 있어 템포를 맞출 수 있게 됩니다. 이 작전이 성공한다면 해당 게임을 압살 할 수 있는 플레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좋은 요건이 될 수 있습니다.

 

 

3. 숙련도 높은 원거리 챔피언 플레이어

자신의 성향과 상관없이 정말 원거리 챔피언을 잘하는 플레이어들은 각 챔피언들의 장단점을 확실히 알고 그에 맞게 플레이를 합니다. 원거리 챔피언이라는 공통된 범주에 있지만 챔피언별로 강점과 약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이를 잘못 사용할 경우 도리어 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암살자형 원거리 챔피언 베인의 경우 라인전이 매우 약합니다. 단일 타깃형 공격이 주된 기술들로 되어 있어서 대인전에서는 강 할지라도 라인을 장학하는 능력은 다른 챔피언에 비해 저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반 라인전은 죽지 않고 수비적으로 플레이하면서 성장했다가 중후반부에 잠재력을 끌어올리는 플레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두 번째 예시로 저격형 원거리 챔피언 케이틀린의 경우 기본 사정거리가 길고 상대방을 압박할 수 있는 기술들이 많고 기본 공격의 공격력이 강력하여 게임 초반 라인전에서 우위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신이 원하는 원거리 챔피언들의 기술 성격과 장단점들을 파악한다면 오히려 게임을 잘 풀어나갈 수 있는 길이 될 수 있습니다. 챔피언에 대한 숙련도와 이해도는 게임의 승리로 만들어가는 기본 요소이기 때문에 많은 연습과 연구를 추천드리는 바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